한국 버핏지수 : "Korea Buffett Indicator / KRX 시가총액 / 한국 주식 시장 과열 판단"

한국 월별 버핏지수

데이터 로드 중...

| 한국 버핏 지수 시각화 : 월별 데이터로 보는 시장 과열 정도

워런 버핏은 주식시장의 과열 여부를 판단할 때 시가총액 대비 GDP 비율, 즉 "버핏 지수"를 자주 언급했습니다. 이 지표는 시장 전체가 고평가됐는지 저평가됐는지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인데요, 미국뿐 아니라 한국 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그래서 저는 한국의 버핏 지수를 월별로 계산하고, 이를 표와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페이지를 만들어봤습니다. 참고 자료로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. 2025년 GDP 자료가 없어 2025년 정보는 단순히 추정 GDP를 근거로 한 자료입니다. ( "실제 데이터가 나오는 대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며,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") 

2025년 6월 업데이트 "2025년 1분기 GDP 622,771.1 확정", "2,3분기 전기대비 1% 반영(추정치)" 

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(단위: 십억 원, 전년동기비 %, 출처: 한국은행「국민소득」)

분기 명목 GDP 실질 GDP 성장률
2024년 1분기 608,186.6 3.4%
2024년 2분기 636,205.4 2.2%
2024년 3분기 643,531.6 1.4%
2024년 4분기 668,933.8 1.1%
2025년 1분기 622,771.1 0.0%


버핏 지수란?

버핏 지수는 아래 공식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
버핏 지수 = (국내 총 시가총액 / 명목 GDP) * 100

일반적인 해석 기준 (전 세계 공통)

  • 100% 이하: 시장 저평가 (매수 기회)
  • 100~200%: 적정 수준
  • 200% 이상: 시장 과열 (경계 필요)

🇰🇷 한국 시장에 맞는 현실적인 기준

버핏 지수 (%) 한국 시장 해석
≤ 90% 저평가 구간 (상대적으로 안전 구간)
90~100% 적정 수준 (중립, 보수적 접근)
≥ 100% 과열 또는 고평가 가능성 있음 (경계 필요)

물론 이 수치는 절대적인 건 아니지만,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할 때 꽤 유용한 지표입니다.

데이터는?

시가총액

  • 한국거래소 기준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(GitHub : 시가총액 데이터셋)
  • 한국 거래소 깃허브 자료 참고 추출 월별 첫쨰날 자료 사용.

GDP

  • 한국은행 발표 명목 GDP (분기)기준, 
  • 분기 자료를 월별로 나누기 위해 1년 환산 후 월별 처리.

월별 데이터 테이블

연도별 버튼을 누르면 해당 연도의 월별 데이터가 표로 나옵니다. 각 행에는 시가총액, GDP, 그리고 계산된 버핏 지수가 표시됩니다.

한국 버핏 지수 이미지
#한국버핏지수 #KoreaBuffettIndicator #버핏지수 #시가총액GDP비율 #한국증시거품 #코스피버블 #코스피시총 #한국GDP #BuffettRatio #MarketCapToGDP #KoreanStockMarket #코스피지수 #주식가치평가 #거시지표 #경제지표분석 #주식시장분석 #투자지표#KOSPIvaluation #KOREAGDP #KRX시가총액 #KRX통계 #가치투자지표 #워렌버핏지수 #BuffettIndicatorKorea  

댓글 쓰기

궁금한 점이나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!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