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&P 500 ETF 비교(미국 SPY, VOO, IVV, 한국 TIGER, KODEX, RISE)

| S&P 500 ETF 비교(SPY, VOO, IVV, TIGER, KODEX, RISE)

S&P 500 ETF 비교 이미지

S&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미국과 국내에 다양한 상품이 상장 되어 있습니다. 이 인덱스 펀드의 가장 유명한 말로는 워렌 버핏이 말한  "미국에 절대로 반대로 베팅하지 말라"라며 개별 주식을 신경 쓸 여유나 시간이 없을 때 가장 추천 하는 S&P 500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추천 했습니다. S&P 500의 경우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비슷하고 비중만 미세하게 다르고 대부분 비슷한 그래프를 그립니다. 장기 적립식이니 만큼 운용 보수나 장기적으로 안정된 운용사를 고르는 게 가장 주요하다고 봅니다. 주요 운용사와 보수 ETF들의 간단한 특징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
미국 상장 S&P 500 ETF

1. SPDR S&P 500 ETF Trust (SPY)는1993년 1월 22일 미국 최초의 ETF로 등장하여 미국 주식 시장의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 ETF 상품이라 할 수 있다.
  • 운용사: State Street Global Advisors
  • 설정일: 1993년 1월 22일
  • 운용보수: 0.0945%
  • 특징: 세계 최초의 ETF로, 높은 유동성과 거래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 다만, 운용보수가 경쟁 상품에 비해 다소 높습니다.
  • 펀드 특성 (2025년 3월 11일 기준)
    • EPS 성장율(추정 3~5년): 12.52% 
    • 연 배당률: 약 1.26%
    • 보유 주식수: 503 종목
    • 주가순자산비율(P/B Ratio): 4.51
    • 주가수익비율(PER): 20.86
    • 평균 시가총액: $925,8 B (한화 약 1,342조원, 1450환율)
2. Vanguard S&P 500 ETF (VOO)
  • 운용사: Vanguard
  • 설정일: 2010년 9월 7일
  • 운용보수: 0.03%
  • 특징: 낮은 운용보수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으며, 최근 SPY를 제치고 세계 최대 ETF로 등극하였습니다.
  • 펀드 특성(2025년 01월 31일 기준)
    • EPS 성장율: 18.9%
    • 연 배당률: 약 1.30%
    • 보유 주식수: 505 종목
    • 주가순자산비율(P/B Ratio): 5.0
    • 주가수익비율(PER): 27.5
    • 평균 시가총액: $325.0 B (한화 약 471조원, 1450환율)

3. iShares Core S&P 500 ETF (IVV)

  • 운용사: BlackRock
  • 설정일: 2000년 5월 15일
  • 운용보수: 0.03%
  • 특징: VOO와 유사한 운용보수를 제공하며, 안정적인 자산 규모와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  • 펀드 특성(2025년 03월 12일 기준)
    • EPS 성장율: -
    • 연 배당률: 약 1.36%
    • 보유 주식수: 503 종목
    • 주가순자산비율(P/B Ratio): 4.55
    • 주가수익비율(PER): 25.32
    • 평균 시가총액: $594.2 B (한화 약 861조원, 1450환율)

국내 상장 S&P 500 ETF

1. TIGER 미국S&P500 

  • 운용사: 미래에셋자산운용
  • 운용보수: 0.0068%
  • 연 배당률: 약 1.25%
  • 특징: 국내 투자자들에게 인기 있는 상품으로,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

2. KODEX 미국S&P500 

  • 운용사: 삼성자산운용
  • 운용보수: 0.0062%
  • 연 배당률: -(배당 재 투자에서 분기 배당으로 바뀜.) 
  • 특징: 3년 수익률은 경쟁사 대비 우수한 성과를 보였습니다. 최근 TR(배당 재 투자)에서 TR을 빼고 분기 배당(배당 기준일 1, 4, 7,10월말)으로 바뀌었습니다.
3. RISE 미국 S&P500
  • 운용사: KB자산운용
  • 운용보수:  연 0.0047%
  • 연 배당률: 약 1.22%
  • 특징: 안정적인 수익률과 함께 다양한 투자 옵션을 제공합니다. 최근 운용 보수 최저가 선언.

투자 시 고려사항

  • 운용보수: 장기 투자 시 운용보수의 차이는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낮은 운용보수를 제공하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유동성: 거래량이 많은 ETF는 매매 시 유리하며, 스프레드가 적어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
  • 배당 정책: ETF마다 배당 지급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, 배당 수익을 고려하는 투자자는 이를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국내 상장된 ETF 중 환헤지(Hedged) ETF환율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해 헤지 전략을 사용하는 상품이니 환율 변동성을 고려 한 투자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 고려 하시기 바랍니다. 
  • 연금 상품 투자 시 국내 상장 ETF를 **연금저축 계좌(IRP, 연금저축펀드 등)**에서 가입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결론 

- IRP + 연금저축 계좌 활용 → 국내 S&P 500 ETF 투자 (700만 원 한도까지 세액공제) 연금 계좌의 경우는 국내 ETF 만 가능 하니 참고 하세요.
- 초과 금액은 달러 환전 후 → VOO 직접 매수 
- 이렇게 하면 절세 혜택 + 장기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.

이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닌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실제 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정 상황, 투자 목표, 리스크 허용도를 고려하여 전문가와 상담 후 이루어져야 합니다.

#ETF추천&분석 #S&P500ETF #KODEX #VOO #경제용어 #IVV #SPY #TIGER #RISE

댓글 쓰기

궁금한 점이나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!

다음 이전